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화이자 앨버트 불라 CEO "백신에 내성을 지닌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변종의 등장" 경고

by 카오스2k 2021. 8. 28.
728x90
반응형
728x170
SMALL

앨버트 불라 화이자 최고경영자(CEO)가 백신에 내성을 지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변종의 등장을 경고했습니다.

 

불라 CEO는 지난 8월 24일(현지 시각) 미국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우리 과학자들은 변이가 우리 백신의 방어체계를 피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연구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아직 어떤 것도 확인하지 못했지만 언젠가 그들(변이) 중 하나가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출처 : 연합뉴스

 

 

그는 다만 변종이 출현해도 95일 안에 맞춤형 백신을 생산할 수 있는 프로세스를 구축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 같은 발언은 코로나19 바이러스(SARS-CoV-2)에 대한 제약사 CEO의 막연한 전망과 대책에 대한 언급이라고 여길 수도 있지만, 현재 코로나19를 통제할 뚜렷한 대책이 없는 상황이기 때문에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이하 뉴스1

 

 

앞서 미 질병통제예방센터 역시 "화이자 백신이 심각한 질병과 사망으로부터 생명을 보호하는 데 효과적"이라면서도 "다음 변이에 백신이 소용없을 수도 있다는 점이 우려된다"고 전했습니다.

 

 

전염병·공중보건 전문가들은 이런 변이 발생 메커니즘을 토대로 코로나19 유행 초기부터 사회적 거리두기, 손 씻기·마스크 착용 등 방역 수칙, 백신 접종 등을 통해 바이러스 전파를 최소화하는 게 변이 발생을 줄이는 최선책임을 강조해왔습니다.

 

또한 변이 바이러스가 백신 내성을 갖게 될지, 전염력이나 치명률이 더 높아질지 등 변이의 특성을 예측하는 것은 변이 발생 위험을 예측하기보다 어렵다는 게 전문가의 의견입니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앞으로 등장할 변이 바이러스가 백신 내성을 갖게 될지 여부에 대해 엇갈린 의견을 내놓고 있는 상황입니다. 

 

전문가들은 코로나19 바이러스의 변이는 전염이 계속되는 한 발생할 수밖에 없고 변이 방향 또한 예측할 수 없지만, 백신 접종과 방역수칙 등을 통해 바이러스 전파를 최소화하고 백신 내성 변이 같은 나쁜 변이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는 의견이 대체적입니다.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